EBS 2026학년도 수능 특강 문학, 독서,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2025)

게시판

EBS 2026학년도 수능 특강 문학, 독서,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들꽃 2025. 3. 18. 10:54

URL 복사 이웃추가

본문 기타 기능

신고하기

EBS 2026학년도 수능 특강 문학

1강

교과서 개념학습

[01~03] 박두진, 「해」

[01~03] 시조 3편(매화, 「매화 옛 등걸에 ~」/ (나) 이원익, 「녹양이 천만사인들 ~」/ (다) 작자 미상, 「사랑 사랑 고고히 맺힌 사랑 ~」)

[01~03] 윤흥길, 「장마」

[01~03] 작자 미상, 「전우치전」

[01~03] 함세덕, 「고목」

[01~03] 이곡, 「차마설」

[01~03] 주요섭, 「사랑손님과 어머니」

[01~03] 이근삼, 「놀부전」

[01~03] 한용운, 「당신을 보았습니다」

01강

고전시가

[01~03] (가) 득오, 「모죽지랑가」/ (나) 이익, 「화왕가」

[01~03] (가) 정서, 「정과정곡」/ (나) 민사평, 「소악부」 중 <제6장>

[01~03] {가} 이현보, 「귀거래 귀거래 말뿐이오 ~」/ (나) 김천택, 「강산 좋은 경을 ~」/ (다) 작자 미상, 「공명을 헤아리니 ~」

[01~03] (가) 이신의, 「사우가」 중 <제2수> / (나) 김창업, 「거문고 술 꽂아 놓고 ~」/ (다) 작자 미상, 「어화 세상 벗님네야 ~」

[01~03] 박선장, 「오륜가」

[01~04] 김진형, 「북천가」

[01~04] 작자 미상, 「용부가」

[01~04] 홍정유, 「동유가」

[01~03] (가) 작자 미상, 「나물 캐는 노래」/ (나) 작자 미상, 「사랑을 찬찬 얽동여 ~」/ (다) 작자 미상, 「모시를 이리저리 삼아 ~」

[01~04] (가) 작자 미상, 「초한가」/ (나) 정철, 「장진주사」

[01~03] (가) 임제, 「잠령민정」/ (나) 이덕일, 「우국가」

02강

현대시

[01~03] (가) 심훈, 「그날이 오면」/ (나) 조지훈, 「산상의 노래」

[01~03] (가) 이육사, 「황혼」/ (나) 최두석, 「성에꽃」

[01~03] (가) 정지용, 「불사조」/ (나) 문병란, 「꽃씨」

[01~03] (가) 장만영, 「달·포도·잎사귀」/ (나) 최하림, 「아침 시」

[01~04] (가) 유치환, 「생명의 서·일장」/ (나) 이정록, 「희망의 거처」

[01~03] (가) 신석정, 「역사」/ (나) 송수권, 「지리산 뻐꾹새」

[01~03] (가) 이용악, 「전라도 가시내」/ (나) 신경림, 「나목」

[01~03] (가) 윤동주, 「병원」/ (나) 김기택, 「벽」

[01~03] (가) 김현승, 「눈물」/ (나) 김춘수, 「강우」

[01~04] (가) 김수영, 「파밭 가에서」/ (나) 김용택, 「들국」

[01~04] (가) 문정희, 「흙」/ (나) 복효근, 「느티나무로부터」

03강

고전 산문

[01~04] 작자 미상, 「남백월 이성 노힐부득과 달달박박」

[01~04] 이현기, 「채생기우」

[01~04] 작자 미상, 「김진옥전」

[01~04] 작자 미상, 「숙향전」

[01~04] 작자 미상, 「정진사전」

[01~04] 작자 미상, 「강도몽유록」

[01~04] 작자 미상, 「옥소전」

[01~04] 작자 미상, 「천수석」

[01~04] 작자 미상, 「수궁가」

[01~04] 작자 미상, 「심청전」

[01~04] 작자 미상, 「지봉전」

04강

현대소설

[01~04] 이광수, 「무정」

[01~04] 이상, 「날개」

[01~04] 채만식, 「태평천하」

[01~04] 전광용, 「사수」

[01~04] 이호철, 「판문점」

[01~04] 김승옥, 「차나 한잔」

[01~04] 이청준, 「황홀한 실종」

[01~04] 송기숙, 「당제」

[01~04] 양귀자, 「방울새」

[01~04] 김주영, 「새를 찾아서」

[01~04] 은희경, 「새의 선물」

05강

극·수필

[01~04] (가) 강령 탈춤의 특징 / (나) 작자 미상, 「강령 탈춤」

[01~03] 작자 미상, 「계축일기」

[01~04] 신유한, 「해유록」

[01~03] (가) 이덕무, 「야뇌당기」/ (나) 이용휴, 「아암기」

[01~04] 차범석, 「산불」

[01~03] 이강백, 「쥬라기의 사람들」

[01~03] 신연식, 「동주」

[01~04] 노희경, 「우리들의 블루스」

06강

갈래 복합

[01~05] (가) 이규보, 「한계사의 노스님에게」/ (나) 이인상, 「소화사」/ (다) 윤오영, 「찰밥」

[01~06] (가) 작자 미상, 「임계탄」/ (나) 박전, 「절비자설」

[01~06] (가) 이매창, 「새장 속의 학」/ (나) 박인로, 「선상탄」/ (다) 작자 미상, 「오윤겸과 설생의 재회」

[01~06] (가) 윤선도, 「몽천요」/ (나) 김만중, 「구운몽」

[01~06] (가) 작자 미상, 「화전가」/ (나) 의유당, 「의유당관북유람일기」/ (다) 박죽서, 「병에서 일어난 후」

[01~06] (가) 백석,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 (나) 최승호, 「내 영혼의 북가시나무」/ (다) 정약용, 「수오재기」

[01~06] (가) 박목월, 「경사」/ (나) 박재삼, 「겨울나무를 보며」/ (다) 김창흡, 「낙치설」

[01~06] (가) 고재종, 「감나무 그늘 아래」/ (나) 장석남, 「수묵 정원 9–번짐」/ (다) 강이천, 「창해옹의 산수 여행」

[01~06] (가) 이문재, 「광화문, 겨울, 불꽃, 나무」/ (나) 이태준, 「화단」/ (다) 김시습, 「애물의」

[01~06] (가) 현대 소설에서 신빙성 없는 서술자의 특성과 효과 / (나) 김유정, 「동백꽃」/ (다) 조세희, 「내 그물로 오는 가시고기」

[01~06] (가) 이효석, 「메밀꽃 필 무렵」/ (나) 이효석 원작, 동희선·홍윤정 각색, 「메밀꽃 필 무렵」

03부

실전 학습

01강

1회

[01~04] 작자 미상, 「청백운」

[05~10] (가) 조우인, 「출새곡」/ (나) 홍성민, 「망설」

[11~14] 박완서, 「도둑맞은 가난」

[15~17] (가) 나희덕, 「그 복숭아나무 곁으로」/ (나) 문태준, 「가재미」

03부

실전 학습

02강

2회

[01~04] 박지원, 「호질」

[05~10] (가) 오장환, 「여수」/ (나) 이수익, 「방울소리」/ (다) 전혜린, 「먼 곳에의 그리움」

[11~14] 염상섭, 「삼대」

[15~17] (가) 이별, 「장육당육가」/ (나) 신지, 「영언십이장」

해설

EBS 2026학년도 수능 특강 독서

01강 독서의 본질

02강 독서의 방법

03강 독서의 분야

04강 독서의 태도

02부 적용 학습

02강 사회·문화

03강 과학·기술

04강 주제 통합

03부 실전 학습

01강 1회

02강 2회

해설

EBS 2026학년도 수능 특강 화법과 작문

1부

교과서 개념 학습

01강

화법과 작문의 본질과 태도

[01~02] 강연의 일부(문화 해설사_○○○ 기념관을 중심으로 건축물의 특징과 의미 설명)

[03~04] (가)는 신문 기사(‘가야 고분군’ 유네스코 세계 유산 등재), (나)는 학교 누리집에 게시한 동아리 홍보문

02강

화법의 원리

[01~02] 탐구 발표 준비를 위한 동아리 학생들의 대화의 일부(배의 석세포)

[03~04] 반대 신문식 토론의 일부(감정을 가진 인공 지능의 개발을 허용해야 한다)

03강

작문의 원리

[01~02] 학생의 작문 계획과 초고(조선 수군의 승리 요인과 관련된 충무공의 뛰어난 능력에 대한 정보 전달)

[03~04] 작문 과제와 그에 따라 학생이 작성한 초고(사회 속 바람직한 제도를 소개하고 그 가치와 관련하여 독자의 공감을 유도하는 글 쓰기)

02부

적용 학습

01강

화법 01~08

1회

[01~03] 발표 중 일부(효과적인 발표 방법)

[04~06] 고등학교 졸업식 축사 연설(학교장)

2회

[01~03] 동아리 임원 학생들의 대화(축제 홍보를 위한 작품 제작)

[04~06] 강연(약사_머리가 아프고 열 날 때 먹는 △△정과 □□□정의 정확한 차이)

3회

[01~03] 지역 사회에서 개최된 협상(임차_도시공원 환경 정비 사업의 일환으로 해당 토지 매입)

[04~06] 광고 연구 동아리 학생들 간의 대화(심리학 강연 중의 ‘귀인 이론’)

4회

[01~03] 채용 면접의 일부(◇◇고의 ‘소설 함께 읽기’ 동아리의 강사)

[04~06] 수업 중 학생들이 진행한 반대 신문식 토론의 일부(‘의무 투표제를 도입해야 한다)

5회

[01~03] 학생의 발표(우리나라에 집배원이라는 직업의 유래)

[04~06] 반대 신문식 토론의 일부(배양육 산업을 장려해야 한다)

6회

[01~03] 전문가의 강연(목재 교육 전문가_목재의 가치)

[04~06] 출판사 대표와 작가의 협상(저작물_해당 장면의 삭제 여부)

7회

[01~03] 교내 연설 대회에 참가한 학생의 연설(말의 힘)

[04~06] 면접의 일부(‘다큐멘터리-우리 사는 세상’ 프로그램 작가로 지원)

8회

[01~03] 학생이 동아리 활동 시간에 한 발표(발명의 날_생체 모방 기술에 대해 발표)

[04~06] 학생들의 대화(지역 신문에 우리 동아리 이름으로 글을 싣기_먹자 골목)

02부

적용 학습

02강

작문 01~08

1회

[01~03] 학습 활동에 따라 학생이 작성한 글(교내 스포츠 클럽 운영에 관해 건의)

[04~06] 작문 과제에 따라 학생이 작성한 초고(서울_친구들에게 소개하고 싶은 주제를 찾아 설명문 쓰기)

2회

[01~03] 작문 과제에 따라 학생이 작성한 초고(조선 시대의 초상화_친구들에게 소개하고 싶은 주제를 찾아 설명문 쓰기)

[04~06] 작문 상황에 따라 학생이 작성한 초고(회귀물_문화 현상을 주제로 교지에 게재될 비평문을 작성)

3회

[01~03] 작문 맥락에 따라 학교 신문에 싣기 위해 작성한 논설문의 초고(웹툰의 소비자로서 작가의 저작권과 입장을 존중하는 태도)

[04~06] 학생의 편지글(할아버지께서 해 주신 말씀에 관해 제가 깊은 깨달음을 얻게 된 일이 있어 감사 인사)

4회

[01~03] 학생이 작성한 보고서의 초고(우리 학교 학생들의 인터넷 이용 빈도 조사)

[04~06] 교지에 실린 학생의 글(말실수_다툼과 화해 사이에 카르보나라)

5회

[01~03] (가)는 정보를 전달하는 글을 쓰기 위한 학생의 생각(청소년 잡지에 걷기의 운동 효과를 설명하는 글을 기고), (나)는 (가)를 바탕으로 쓴 학생의 초고

[04~06] 학생들이 주고받은 편지(추억)

6회

[01~03] (가)는 글을 쓰기 전 학생이 작성한 메모(전자 기기를 ‘수리할 권리’에 대한 생각), (나)는 (가)를 작성한 학생이 쓴 초고

[04~06] 학생이 쓴 편지(특강 요청을 흔쾌히 수락해 주셔서 감사의 마음을 담아)

7회

[01~03] 작문 상황과 이를 바탕으로 학생이 작성한 초고(희망 진로 관련 글쓰기 과제로, ‘예능의 역사와 예능 콘텐츠가 나아갈 방향’이라는 주제)

[04~06] 작문 과제에 따라 작성한 학생의 글(미술 전시회를 다녀온 뒤의 견문과 느낀 점)

8회

[01~03] 작문 상황에 따라 학생이 작성한 초고(‘지역 사회의 문제_관광객 유입’를 해결하기 위한 건의문 작성하기)

[04~06] ‘후배 사랑 공부 도우미 모집 공고문’에 따라 학생이 작성한 자기소개서

03강

통합 01~16

1회

[01~05] (가)는 학생들의 대화(‘후추_후추의 대항해 시대’에 대해 설명하는 글), (나)는 (가)를 바탕으로 쓴 글의 일부

2회

[01~05] (가)는 학생들의 반대 신문식 토론(고독사_1인 가구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나)는 토론을 참관한 학생이 (가)를 바탕으로 쓴 글

3회

[01~05] (가)는 학교 신문에 실린 글(교내 통행로 폐쇄로 인한 갈등 해소를 위해 협상), (나)는 학교 신문 보도 이후에 개최된 협상

4회

[01~05] (가)는 청소년 축제 기획단 모집 공고에 따라 학생이 작성한 자기소개서, (나)는 (가)를 바탕으로 실시한 면접의 일부

5회

[01~05] (가)는 ‘활동 1’에 따른 학생의 연설(식량 안보_사회적 문제 해결에 대한 주장), (나)는 ‘활동 2’에 따라 (가)를 들은 학생이 작성한 비평문의 초고

6회

[01~05] (가)는 국어 시간에 이루어진 학생의 발표(연날리기), (나)는 (가)의 발표 이후 학생이 과학 동아리 신문에 게재하기 위해 작성한 글의 초고

7회

[01~05] (가)는 학교 신문에 실을 기사를 작성하기 위한 학생들의 대화(소규모 테마형 교육 여행), (나)는 (가)를 바탕으로 ‘학생 3’이 작성한 초고

8회

[01~05] (가)는 ‘활동 1’에 따른 학생의 발표(슈링크플레이션(shrinkflation), (나)는 (가)를 발표한 학생이 ‘활동 2’에 따라 작성한 글

9회

[01~05] (가)는 교지에 실을 특집 기사를 쓰기 위해 나눈 현대 사회 탐구 동아리 학생들의 대화(미래 사회의 변화에 대한 대응), (나)는 이를 바탕으로 ‘학생 2’가 작성한 초고

10회

[01~05] (가)는 방송 대담의 일부(학교 급식 종사자의 건강 문제), (나)는 이를 바탕으로 학생회 학생들이 나눈 대화, (다)는 학생회장이 작성한 건의문

11회

[01~05] (가)는 텔레비전 방송의 인터뷰(산티아고 순롓길), (나)는 (가)를 시청한 학생이 작성한 감상문의 초고

12회

[01~05] (가)는 학교 신문에 실린 기사문(학생회실 이전 포함 선결해야 할 과제 많아 협상 필요), (나)는 (가)의 보도 이후에 학교에서 개최된 협상

13회

[01~05] (가)는 ‘청소년 기자단 모집 공고문’에 따라 학생이 작성한 기사문, (나)는 (가)를 바탕으로 실시된 면접의 일부

14회

[01~05] (가)는 학생회 학생들의 대화(학교 숲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나)와 (다)는 대화에 참여한 학생들이 작성한 초고

15회

[01~05] (가)는 반대 신문식 토론의 일부(AI 기술이 적용된 사진 편집 애플리케이션 프로필 사진), (나)는 토론에 참여한 반대 측 학생이 작성한 소감문의 초고

16회

[01~05] (가)는 학습 동아리 학생들의 대화(청소년의 소비문화), (나)는 이를 바탕으로 ‘학생 2’가 작성한 비평문의 초고

03부

실전 학습

01강

1회

[01~03] 과학 동아리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강연(간식)

[04~08] (가)는 학생들의 대화(궁궐 지붕에 올려진 잡상), (나)는 이를 바탕으로 ‘학생 1’이 작성한 초고

[09~11] 작문 상황과 이에 따라 작성한 초고(잡지_데이터의 효율적인 전달)

02강

2회

[01~03] 학생의 발표(목민관인 다산_정약용이 지녔던 생각과 신념)

[04~08] (가)는 학교에서 진행한 강연이 끝난 후 학생들이 나눈 대화(MZ 세대), (나)는 ‘학생 1’이 작성한 초고

[09~11] (가)는 글을 쓰기 위한 학생의 메모(수면에 대한 다양한 정보), (나)는 이를 바탕으로 작성한 학생의 초고

해설

EBS 2026학년도 수능 특강 언어와 매체

1부

교과서 개념학습

01강

언어와 매체의 본질

[01~02] (가)는 인쇄 매체의 글(우리 지역 소개), (나)는 휴대 전화로 확인한 누리 소통망 〔SNS〕의 화면

1. 매체의 유형에 따른 특성

2. 뉴 미디어의 특성(쌍방향, 복합 양식성, 해시태그)

02강

국어의 탐구와 활용

[1회]

1. 최소 대립쌍

2. 국어의 음운 변동

3. 국어의 음운 변동

[2회]

1. 형태소의 종류

2. 품사의 특성

3. 합성어와 파생어 분석

[3회]

1. 문장 성분

2. 안은문장

3. 부정 표현

[4회]

1. 담화의 구성 요소

2. (중세 국어 자료 탐구

3. 중세 국어의 문법

03강

매체 언어의 탐구와 활용

1. 매체 자료의 주체적 수용

2. 매체 언어의 복합 양식성

3. 정보 전달과 설득

4. 매체 언어의 표현 방법

04강

언어와 매체에 관한 태도

[01~02] 온라인 실시간 방송

1. 매체 언어와 개인적·사회적 소통

2. 매체 자료의 주체적 수용

02부

적용 학습

01강

언어 01~15

언어 1

1. 국어의 음운 체계

2. 국어의 음운 변동

3. 표준 발음법에 관한 조항 - 음의 동화

4. 국어의 음운 변동

5. 국어의 음운 변동

6. 국어의 음운 변동

언어 2

1. 국어의 모음의 종류

2. 국어의 음운 변동

3. 교체, 탈락

4. 교체

5. 교체, 첨가

6. 국어의 음운 변동

언어 3

1. 체언의 특성

2. 용언의 특성

3. 형태소의 종류

4. 단어의 분류

5. 단어의 구성 요소

6. 단어 배열법에 따른 합성어 종류

언어 4

1. 용언

2. 용언

3. 단어의 의미 관계

4. 합성어와 파생어 분석

5. 합성어와 파생어 분석

6. 합성어와 파생어의 형성

언어 5

1. 문장 성분의 종류

2. 문장 성분별 특성 – 부사어

3. 안은문장

4. 안은문장

5. 높임 표현

6. 부정 표현

언어 6

1. 문장 성분

2. 관형어의 형태

3. 구조에 따른 문장의 종류

4. 이어진문장

5. 안은문장

6. 시제

언어 7

1. 문장 성분

2. 문장 성분

3. 이어진문장

4. 안은문장

5. 문장 종결 표현의 종류

6. 피동 표현

언어 8

1. 문장 성분

2. 문장 성분

3. 이어진문장

4. 안은문장

5. 문장 종결 표현의 종류

6. 피동 표현

언어 9

1. 중세 국어의 문법

2. 중세 국어의 문법

3. 중세 국어의 이해

4. 중세 국어 자료 탐구

5. 중세 국어 자료 탐구

6. 음운의 변천

언어 10

1. 단어의 의미 관계

2. 단어의 의미 관계

3. 국어의 음운 변동

4. 품사의 특성

5. 한글의 창제

언어 11

1. 음운의 변천

2. 중세 국어의 음운

3. 안은문장

4. 사동 표현

5. 단어의 의미 관계

언어 12

1. 국어의 음운 변동

2. 용언, 단어의 구성 요소

3. 단어의 구성 요소

4. 안은문장

5. 중세 국어 자료 탐구

언어 13

1. 국어의 음운 변동

2. 관형사절을 안은 문장

3. 높임 표현

4. 관계언

5. 중세 국어 자료 탐구

언어 14

1. 단어의 의미 관계

2. 단어의 의미 관계

3. 형태소의 이해

4. 안은문장

5. 중세 국어의 문법

언어 15

1. 단어의 의미 관계

2. 단어의 의미 관계

3. 형태소의 이해

4. 안은문장

5. 중세 국어의 문법

02강

매체 01~12

매체 1

[01~03] 텔레비전 뉴스(나무 의사)

[04~05] (가)는 신문 기사의 일부(쇼트폼), (나)는 학생이 (가)를 읽고 접속한 쇼트폼 콘텐츠 플랫폼의 화면, (다)는 (나)에 노출된 광고를 통해 접속한 인터넷 쇼핑몰의 화면

매체 2

[01~03]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문화 산책)

[04~05] 신문사의 웹 페이지 화면(분리배출_페트병 뚜껑 닫아서 배출)

매체 3

[01~03]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직업 탐구_국가 유산 보존가)

[04~05] (가)는 학생의 개인 블로그(매운맛 중독), (나)는 (가)를 참고하여 만든 스토리보드

매체 4

[01~02] 광고를 주제로 한 수업의 일부(광고의 표현 전략 탐구)

[03~05] 온라인 실시간 방송(보건 선생님과 함께하는 건강 상담)

매체 5

[01~03] 텔레비전 뉴스(리셀_희소성이 높은 제품을 구매한 후 웃돈을 붙여 되파는 것)

[04~05] 온라인 실시간 방송의 일부(감자 뇨키 만들기)

매체 6

[01~02] (가)는 종이 신문(야외 활동_자외선), (나)는 신문사의 웹 페이지 화면

[03~05]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뉴 미디어 자세히 보기_OTT)

매체 7

[01~03]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오늘 어디 가지_천문대)

[04~05] (가)는 박물관 앱의 화면(기획 전시), (나)는 (가)를 개선하기 위해 이루어진 온라인 회의

매체 8

[01~03] (가)는 보이는 라디오의 본방송(여행 초보자를 위한 정보가 전달), (나)는 이 방송을 들은 학생이 과제 수행을 위해 작성한 메모

[04~05] (가)는 전자 문서로 된 사용 설명서의 일부, (나)는 (가)를 바탕으로 나눈 누리 소통망 〔SNS〕 대화

매체 9

[01~03] (가)는 텔레비전 뉴스(버려진 마스크_환경 파괴), (나)는 이를 바탕으로 동아리에서 교내에 게시하기 위해 만든 포스터

[04~05] 온라인 실시간 방송(화초 분갈이)

매체 10

[01~03] (가)는 학생회 소식을 알리는 온라인 실시간 방송(학교 곳곳 스탬프 투어), (나)는 이를 본 학생이 학생회 누리 소통망 〔SNS〕에 올린 게시물

[04~05] (가)는 박물관 앱의 화면(AR투어 보기), (나)는 이 앱을 사용한 사람들의 후기

매체 11

[01~03] (가)는 한 국가 기관의 누리집에 올라온 보도 자료(우리 국민의 언어 의식), (나)는 이를 본 학생들의 온라인 화상회의

[04~05] (가)는 학생의 개인 블로그(책 사랑방, 동네 책방의 변신), (나)는 (가)를 참고하여 만든 카드 뉴스

매체 12

[01~03] (가)는 온라인 카드 뉴스의 초안(닻 내림 효과), (나)는 (가)를 만들기 위해 참고한 인쇄 매체 자료

[04~05] 학생의 개인 블로그(스몸비족)

03강

통합 01~06

통합 1

[01~04] (가)는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텔레비전으로 만나는 도서관), (나)는 온라인 실시간 방송의 일부

통합 2

[01~04] (가)는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예술가 산책_칸딘스키의 미술), (나)는 미술 전시회의 홍보 자료

통합 3

[01~04] (가)는 보이는 라디오의 본방송(생활과 기후), (나)는 이 방송을 들은 학생의 메모

통합 4

[01~04] (가)는 지역 신문사의 웹 페이지 화면(늘어나는 라면 국물로 병들어 가는 산), (나)는 학생이 (가)를 바탕으로 제작한 카드 뉴스

통합 5

[01~04] (가)는 학생회에서 만든 앱의 화면(학생통 앱), (나)는 이 앱을 사용한 사람들의 후기

통합 6

[01~04] (가)는 보이는 라디오의 본방송(라디오 가수왕), (나)는 이 방송의 계획표

03부

실전 학습

01강

1회

1. 국어의 음운 변동(연음과 대표음 법칙)

2. 안은 법칙

3. 피동 표현과 사동 표현

4. 단어의 구성 요소

5. 중세 국어의 이해

[06~09] 텔레비전 방송 프로그램의 일부(오늘의 이슈_제설제 사용)

6. 매체 언어의 의미 전달 방식

7. 매체 언어의 표현 방법

8. 매체 자료 수용의 관점과 가치

9. 매체 언어의 표현 방법

[10~11] (가)는 동아리 누리집(신입회원 모집 포스터), (나)는 (가)를 바탕으로 제작된 포스터

10. 매체 언어의 의미 전달 방식

11. 매체의 정보 구성 방식

02강

2회

1. 파생어의 형성

2. 부사의 역할과 특성

3. 담화의 특성

4. 의문문

5. 중세 국어의 이해

[06~08] 온라인 실시간 방송의 일부(간병 문제)

6. 매체의 정보 구성 방식

7. 매체 수용자의 태도

8. 매체 자료 수정 및 보완

[09~11] (가)는 종이 신문, (나)는 (가)의 내용을 영상으로 제작하기 위해 만든 스토리보드의 일부

9. 매체 언어의 표현 방법

10. 매체 언어의 표현 방법

11. 매체 언어의 표현 방법

해설

* 파일이 필요하신 분은 비밀 댓글로 메일 주소 남겨주시면 보내드리겠습니다.

공감이 글에 공감한 블로거 열고 닫기

댓글1 이 글에 댓글 단 블로거 열고 닫기

인쇄

EBS 2026학년도 수능 특강 문학, 독서,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2025)
Top Articles
Latest Posts
Recommended Articles
Article information

Author: Otha Schamberger

Last Updated:

Views: 5733

Rating: 4.4 / 5 (55 voted)

Reviews: 94% of readers found this page helpful

Author information

Name: Otha Schamberger

Birthday: 1999-08-15

Address: Suite 490 606 Hammes Ferry, Carterhaven, IL 62290

Phone: +8557035444877

Job: Forward IT Agent

Hobby: Fishing, Flying, Jewelry making, Digital arts, Sand art, Parkour, tabletop games

Introduction: My name is Otha Schamberger, I am a vast, good, healthy, cheerful, energetic, gorgeous, magnificent person who loves writing and wants to share my knowledge and understanding with you.